Ⅰ. 인공지능 역사 개념
- 앨런 튜링의 1950년대 학습하는 기계로 시작된 인공지능은 데이터 기반 지식의 전문가 시스템, 이후 자연을 모방안 뉴럴 네트워크, 유전 알고리즘, 머신러닝, 딥러닝으로 발전하고 있음
Ⅱ. 인공지능 역사
가. 인공지능 역사 이력도
|
나. 인공지능 역사 상세
년대 |
주요연혁 |
설명 |
|
1950년 |
인공지능의 시작 |
- 튜링은 '계산 기계와 지능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'라는 논문에서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방법, 지능적 기계의 개발 가능성, 학습하는 기계 등에 대해 정의 |
|
1956년 |
데이터 기반 분석 체계 구성 |
- 다트머스 컬리지에서 10명의 과학자가 모여 6주간 워크샵 - 인공지능학의 시초 |
|
1970년대 |
AI 겨울(암흑기) |
- AI 시스템이 절대로 애초의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인식이 펀딩 삭감으로 이어지면서 AI 겨울이 시작 |
|
1980년대 |
전문가 시스템 |
- 인간 전문가들의 지식을 하나하나 입력해 만든 규칙 기반 시스템 - 수백개의 시스템이 만들어졌지만 소규모 시스템은 효용이 적었고 대규모 시스템은 개발, 유지비가 높았고 사용하기도 어려웠다. - 1980년대 후반 두 번째 'AI 겨울' |
|
1990년대 |
자연의 모방 뉴럴 네트워크, 유전알고리즘 |
- 전통적인 논리주의 패러다임을 대체하여 고차원의 상징 조작에 집중하는 새로운 기술이 등 - AI에 대한 낙관론 |
|
2010년대 |
AI의 현재와 미래 머신러닝, 딥러닝 |
- 컴퓨터 스스로 자질을 학습해 설계 - 학습할 데이터를 다른 문제에 재활용 가능 - 대량 데이터 처리 빅데이터의 확산, HW적 성능 향상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