Ⅰ. 데이터 백업의 중요성 및 백업 기술
가. 데이터 백업의 중요성
나. 데이터 백업을 위한 기술
특징 |
설명 |
Tape Backup |
-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|
VTL Backup |
- 가상의 테이프 장치를 이용해 기존 테이프 장치처럼 Disk에 백업 |
D2D Backup |
-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로 백업 |
Ⅱ. VTL(Virtual Tape Library)의 정의 및 특징
가. VTL(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)의 정의
나. VTL의 특징
특징 |
설명 |
Tape Interface |
-기존 Tape사용시의 업무 환경 유지 |
고속 백업 |
- Disk 백업과 같은 속도의 백업 및 복구 |
유지보수 |
- 정기적 클리닝 테이프 필요 없음 |
탄력성 |
- 데이터의 종류별로 스토리지 선택 가능 |
원격 백업 |
- IP를 할당 받아 원격 백업(VTL간 통신) 가능 |
업무 연속성 |
- 기존 업무환경의 유지 가능 |
Ⅲ. D2D(Disk TO Disk)방식과 VTL방식을 비교 설명
가. D2D(Disk-TO-Disk) 방식의 특징
특징 |
설명 |
백업 방식 |
- 백업 S/W가 Source Disk내의 데이터를 읽어 Target Disk로 백업하는 방식 |
성능 향상 |
- Disk 의 속도에 비례한 성능 발휘(고속/고가 도입 시 고성능 보장) |
I/O 방식 |
- Random I/O 가능(변경 부분만 백업가능 -> 저장공간 활용도 우수) |
구축 비용 |
- Tape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 - Disk을 기반으로 하므로 저렴한 구축이 어려움 |
나. D2D방식과 VTL방식의 비교
항목 |
D2D |
VTL |
개념도 |
|
|
관리 대상 |
Disk |
Disk, VTL S/W |
안정성 |
- 바이러스 감염 위험 높음 - 보안 취약 |
- 테이프와 동일하게 작동 - 감염위험 없음 |
설치 시간 |
수시간 ~ 수일 |
- S/W 기반 VTL: 수시간 - H/W 기반 VTL: 수분 |
비용 |
- 백업성능 유지 위한 전문인력 필요 - 관리비용 고가 |
- 신규 도입 시: 상대적 고가 - 재 활용 시: 기존 관리인력 활용 가능 |
매체 |
물리적 Disk |
가상 Tape library |
IP 지원 |
- |
IP할당, 원격 백업 지원 |
Ⅳ. VTL의 도입효과 및 효율적 도입방안
가. VTL의 도입 효과
나. VTL의 효율적 도입방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