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. 통합된 음성 및 데이터 전송 방식의 이동통신기술, HSPA+의 개요
- 가. HSPA+(Evolved High Speed Packet Access)의 정의
- HSPA는 HSDPA(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)와 HSUPA(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)를 통합하여 일컫는 3GPP 기술로 기존의 DCH(Dedicated Channel)만을 사용하는 3GPP Release 99 시스템에 비해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
- (다운로드 14.4Mbps (1.8MB/s), 업로드 5.8Mbps (0.725MB/s)
- 3세대 이동통신이 사용하는 무선통신 방식
- HSPA/HSPA+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시장의 많은 부분을 점유
- HSPA+는 WCDMA 프로토콜의 확장 및 성능 개선을 위하여 2개의 3.5세대 이동통신 기술규약인 HSDPA와 HSUPA를 결합한 표준 규격 서비스로 음성은 서킷(Circuit), 데이터는 패킷(Packet)으로 나눠 처리하는 기존 이동통신과는 달리 음성과 데이터 모두 패킷 처 리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4세대 이동통신의 축소판이라고 불리는 신형 이동통신 서비스 (다운로드 21Mbps (2.625MB/s), 업로드 11Mbps (1.375MB/s)– 국내지원 (최대 다운로드 42Mbps (5.25MB/s), 84Mbps(10.5Mbps/s))
- HSPA에 비해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를 향상시킨 기술
나. HSPA+의 발전단계
- 현재 이동통신 시장은 4세대 이동통신 기술 주도권을 놓고 LTE 진영과 모바일 와이맥스 그룹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이 가운데 LTE 진영은 유럽 이동통신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(WCDAM)에서 HSPA(HSDPA&HSUPA)를 거쳐 HSPA+로 진화
- HSDPA -> HSUPA -> HSPA -> HSPA+

- HSDPA: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, CDMA기술류에서 다운로드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 기술 (다운로드 최대 14.4Mbps)
- HSUPA: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, HSDPA에서 업로드 속도까지 크게 향상 시킨 기술 (업로드 최대 5.8Mbps [기존 384KB])
- HSPA: 현재의 3G기술, HSDPA+HSUPA
- HSPA+: 4세대 기술의 후보라 불림, HSPA에서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를 한단계 더 발전시킨 기술
다. HSPA+의 특징
- 최대 다운로드 속도는 42Mbps, 업로드 속도도 무려 11Mbps로 향상
- 지속적인 패킷 커넥션이 보장으로 VoIP(인터넷전화) 서비스로 통화할 수 있는 시간이 50% 가량 늘어나고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가능
- Shared-channel transmission: WCDMA에서 효율적인 코드 사용 및 전력 자원의 효율적 사용 용이
- shorter Transmission Time Interval (TTI): 왕복 시간을 단축하고 빠른 채널 변화의 추적을 향상
- Link adaptation: 채널 사용의 극대화 및 최대 셀 전원을 사용
- Fast scheduling: 가장 유리한 채널 조건의 사용자에게 우선 순위 부여
- Fast retransmission and soft-combining: 훨씬 증가한 capacity
- 16QAM and 64QAM (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) : 수익률 높은 비트 속도
- MIMO: 추가 용량 혜택을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다양성 추구

II. HSPA+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
가. HSPA+의 개념도

- 음성통신도 패킷방식으로 진화, VoIP 품질 유선전화 수준 향상, 데이터ㆍ음성 기존 2∼ 3배 속도, 'LTE 전초전' 상용화 경쟁 치열
나. HSPA+의 주요 기술요소
기술요소
|
설 명
|
HSDPA
|
-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
- 고속 하향 데이터 패킷 전송 방식
|
HSUPA
|
-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
- 고속 상향 데이터 패킷 전송 방식
|